맨위로가기

명성 (버스 기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성(버스 기업)은 197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로, 2023년 주식회사 명성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6년 파업으로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으며, M버스 노선 도입 등 변화를 겪었다. 현재 도시형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고양시 일산서구에 본사를 두고 여러 영업소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공항버스 기업 - 경남여객
    경남여객은 1959년 설립되어 경기도 용인시에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로, 2017년부터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을 운영하며 친환경 전기 버스 도입에도 적극적이다.
  • 경기도의 공항버스 기업 - 대원고속
    대원고속은 1948년 중앙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경기도 광주시를 중심으로 시내버스, 시외버스, 고속버스, 공항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KD운송그룹 계열의 대한민국 운송 기업으로, 경기도 동남부 지역에서 다양한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광주시에서 핵심적인 노선망을 구축하고 충청북도 면허의 고속버스 차량을 운행하는 특징이 있다.
  • 일산서구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는 서울 과밀화 해소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에 조성된 대규모 택지개발 신도시로, 1기 신도시 중 인구밀도가 가장 낮으며 고양호수공원을 중심으로 상업시설과 녹지가 풍부하고 서울 접근성이 높아 독립적인 도시 기능을 수행하지만 난개발 및 교육 격차 문제도 안고 있다.
  • 일산서구 - 일산대교
    일산대교는 고양시와 인천 서구를 잇는 다리로, 2008년 개통 이후 통행료 문제로 논란이 있었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도 가능하다.
  • 1977년 설립된 기업 -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1977년 현대정공으로 설립되어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기아의 부품 및 서비스를 담당하며, 모듈, 핵심부품, A/S 부품, 미래 기술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이다.
  • 1977년 설립된 기업 - HDC (기업)
    HDC는 현대산업개발에서 분할된 HDC그룹의 지주회사로 투자, 부동산 임대 사업을 하며 여러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나, 부실 공사 및 갑질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고 있어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이 요구된다.
명성 (버스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명성운수
원어Myungsung Co., Ltd.
종류주식회사
창립1977년 7월 1일
시장 정보비상장
국가대한민국
장소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로 97
사업 지역교하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소라지로 6
내유동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유산길 46
북일산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원일로 101
성석동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로 652
탄현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중로275번길 26
대화공영영업소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수길 105
인물서창호(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재무 정보 (2020년)
자본금210,000,000원
매출액38,032,562,749원
영업이익-6,429,010,591원
순이익-4,422,563,147원
자산총액56,166,121,119원
주주 정보
주주서창호 : 94.3%
기타 : 5.7%
기타 정보
종업원571명

2. 연혁


  • 1977년 7월 1일: 명성운수 주식회사 법인 설립
  • 2006년 5월 1일: 선진네트웍스 인수 문제로 파업 및 전 노선 운행 중단
  • 2006년 5월 12일: 파업으로 인해 중단된 전 노선 운행 재개
  • 2016년 3월 28일: 능곡 - 행신초교 -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는 M7129번 신설
  • 2020년 11월 1일 : 운정신도시 - 공덕역 구간을 운행하는 경기도 공공버스(직행좌석) 3400번 신설
  • 2022년 5월 23일 : 대화동 - 현대백화점 구간을 운행하는 도시형버스 75번 신설
  • 2023년 2월 15일 : 명성운수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명성으로 사명변경
  • 2023년 9월 2일 : 가온누리엠 주식회사의 M7646번 노선 양수

2. 1. 설립 초기 (1977년 ~ 2000년대)

1977년 7월 1일 명성운수 주식회사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2006년 5월 1일 선진네트웍스 인수 문제로 파업 및 전 노선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5월 12일 운행을 재개하였다. 2016년 3월 28일에는 능곡 - 행신초교 -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는 M7129번을 신설하였다. 2023년 2월 15일 주식회사 명성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 2. 노선 확장 및 파업 (2000년대 ~ 2010년대)

2006년 5월 1일, 선진네트웍스 인수 문제로 파업을 일으켜 전 노선 운행을 중단했다. 5월 12일, 파업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전 노선 운행을 재개했다.

2016년 3월 28일에는 능곡 - 행신초교 -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는 M7129번을 신설했다.

2. 3. M버스 도입 및 변화 (2010년대 ~ 현재)

2010년대에 들어 명성은 M버스 노선을 신설하며 변화를 꾀했다. 2016년 3월 28일에는 능곡 - 행신초교 - 서울역 구간을 운행하는 M7129번을 신설했다. 2020년 11월 1일에는 운정신도시 - 공덕역 구간을 운행하는 경기도 공공버스 3400번을 신설했다. 2023년 9월 2일에는 가온누리엠의 M7646번 노선을 양수받았다.

2022년 5월 23일에는 대화동 - 현대백화점 구간을 운행하는 도시형버스 75번을 신설했다. 2023년 2월 15일, 명성운수 주식회사에서 주식회사 명성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3. 운행 노선

3. 1. 도시형버스

3. 2. 일반좌석버스

3. 3. 직행좌석버스

명성(버스 기업)은 다양한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000번은 대화동에서 숭례문까지 운행하며, 1999년 9월 10일에 개통되었다. 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백석동, 행신동, 연세대학교를 경유하여 광화문을 거쳐 숭례문에 이른다.

1082번은 내유동에서 영등포역까지 운행하며, 1990년대 중반 82번 일반좌석버스로 신설되어 2002년에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2009년 3월 1일에 1082번으로 변경되었다. 고양시청, 화정역, 행신초등학교, 행주산성을 지나 자유로강변북로를 통해 당산역, 영등포시장역을 거쳐 영등포역과 타임스퀘어까지 운행한다.

1100번은 가좌마을에서 숭례문까지 운행하며, 2011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다. 대화역, 주엽역, 마두역, 백석동, 행신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경유하여 연세대학교를 지나 광화문을 거쳐 숭례문까지 운행한다.

1200번은 탄현동에서 숭례문까지 운행하며, 2004년 4월 30일에 신설되었다. 탄현큰마을, 국립암센터,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행신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경유하여 연세대학교를 지나 광화문을 거쳐 숭례문까지 운행한다.

1500번은 연다산동차고지에서 타임스퀘어까지 운행하며, 2011년 3월 23일에 830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운정신도시, 탄현역, 대화역, 마두역, 백석역을 지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자유로, 강변북로를 거쳐 당산역, 영등포시장역을 지나 영등포역과 타임스퀘어까지 운행한다.

1900번은 고양공영차고지에서 숭례문까지 운행하며, 2006년에 1000-1번을 대체하여 신설되었다. 안곡고등학교, 고양시청, 화정역, 행신동, 한국항공대학교를 지나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연세대학교를 거쳐 광화문, 시청역을 지나 숭례문까지 운행한다.

3400번은 가람마을5단지에서 공덕역까지 운행하며, 2020년 11월 1일에 개통되었다. 제2자유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현대백화점 신촌점, 대흥역을 거쳐 공덕역까지 운행한다.

3800번은 고양공영차고지에서 경기도청북부청사까지 운행하며, 2024년 6월 1일부터 신설되었다. 주엽역, 대곡역, 화정역, 원흥역, 삼송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여 장암역과 경기도청북부청사까지 운행한다.

7101번은 팜스프링아파트에서 혜화역.마로니에공원까지 운행하며, 2022년 6월 20일 개통되었다. 금촌역, 홍대입구역, 이대역, 광화문을 거쳐 종로1·2·3·5가를 지나 혜화역까지 운행한다.

9700번은 대화역에서 양재역까지 운행하며, 2002년 3월 23일 대원고속의 시외버스 9900번으로 개통되었다가 2004년 2월 20일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대원고속과 공동 배차 운행하며, 킨텍스까지의 구간은 대원고속 차량만 운행한다. 주엽역, 마두역, 백석역, 행신동을 지나 자유로강변북로, 한남대교를 통해 신사역, 강남역을 거쳐 양재역까지 운행한다.

3. 4. 광역급행버스 (M버스)

3. 5. 공항버스

인천국제공항이라는 특수 지역 방향 노선이라는 이유로 직행좌석버스로 인가되었으나 한정면허로 등록되어 있으며 환승 할인은 불가능하여 공항버스로 별도 분리된다. 요금은 카드 8,500원, 현금 9,000원이다. 3300번 버스는 대화동에서 출발하여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백석역을 경유하여 인천국제공항까지 운행한다.

4. 과거 운행 노선

4. 1. 도시형버스

명성(버스 기업)은 과거 다양한 도시형 버스 노선을 운영했다. 01번은 중산지구에서 원당역을 거쳐 일산동구청까지 운행했으며, 보람운수와 신일산운수를 거쳐 현재는 092번으로 통합되었다. 03번은 필리핀참전비에서 일산동구청까지 운행했으며, 현재 백마운수 050번으로 운행 중이다. 05번은 고양동에서 주엽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과 신성운수로 이관되었다.

2번은 롯데프리미엄아울렛에서 원당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으로 양도 후 20번으로 변경되었다. 3번은 일산 신원에서 조리읍 주민센터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으로 양도되었다. 5번은 파주파비뇽아울렛에서 원당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으로 양도 후 현재 50번으로 운행 중이다. 6번은 대화마을에서 파주시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으로 양도 후 폐선되었다.

7번은 구산동에서 일산동구청까지 운행했으며, 현재 대화교통 062번 마을버스로 운행 중이다. 8번은 교하지구에서 백석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으로 양도 후 현재 80번으로 운행 중이다. 15번은 구산동에서 일산시장까지, 나진검문소에서 롯데마트 행신점까지 두 노선이 존재했다.

55번은 일산시장에서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운수로 양도되었다. 72번은 대화동에서 지하 신촌역까지 운행했으며, 2023년 9월 22일 75번 노선에 통폐합되었다. 75번은 용두동에서 수색역까지 운행했으며, 태양여객과 삼송여객(현 뉴시티)을 거쳐 현재 075번 마을버스로 운행 중이다. 85-1번은 고양동에서 송정역까지 운행했으며, 신성여객과 신성운수로 이관되었다.

4. 2. 일반좌석버스


  • 31번: 일산시장 - 후곡마을 - 국립암센터 - 마두1동주민센터 - 김포공항 - 송정역을 운행하였다. 2008년 3월부터 중산지구 - 김포공항으로 노선이 단축되었고 신성여객으로 노선이 양도되었다. 이후 310번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알미공원으로 노선 단축 후 폐선되었다.
  • 33번: 성석동 ↔ 탄현2단지 삼익APT ↔ 일산시장 ↔ 명성운수 차고지 ↔ 일산서구 보건소 ↔ 산들마을 5단지 ↔ 신일초등학교 ↔ 문화초등학교 ↔ 강선초등학교 ↔ 정발산역 ↔ 강선마을 ↔ 일산경찰서 ↔ 일산동구청마두역 - 능곡초등학교 ↔ 능곡역 ↔ 능곡전화국 ↔ 행주대교 ↔ 개화검문소 ↔ 개화역개화산역 ↔ 방화중학교 ↔ 김포국제공항송정역을 운행하였다. 2008년 3월부터 신성여객으로 노선이 양도되면서 광탄으로 연장되었다. 2012년에 문산으로 연장하고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2015년 노선을 다시 금촌으로 단축 후 폐선되었다. 현재 금촌-일산신도시-김포공항 구간을 운행한다.
  • 76번: 가좌마을 ↔ 덕이동 ↔ 이마트 덕이점 ↔ 일산3동 주민센터 ↔ 밤가시마을 ↔ 국립암센터 ↔ 저동고등학교 ↔ 마두1동 주민센터 ↔ 백석역대곡역 ↔ 고양경찰서 ↔ 행신초등학교 ↔ 행신동 ↔ 한국항공대역 ↔ 항공대학교 입구 ↔ 덕은교 ↔ 수색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가좌역지하 신촌역을 운행하였다. (구 77-1번 일반좌석버스) 2007년 9월부터 신성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신성운수로 노선 재이관, 그 후 폐선되었다.
  • 85번: 고양동 ↔ 고양시장 ↔ 관산동 ↔ 테마동물원 쥬쥬 ↔ 원당등기소 ↔ 고양시청고양어울림누리덕양구청화정역롯데마트 행신점 (구 GS마트) ↔ 햇빛마을 23단지 ↔ 가라뫼 ↔ 행주대교개화역개화산역김포국제공항송정역을 운행하였다. 2008년 3월부터 신성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신성운수로 노선이 재이관되었다.
  • 108번 (본일산영업소): 일산터미널 ↔ 일산시장 ↔ 농수산물센터 ↔ 유화프라자 ↔ 강선마을 ↔ 정발산역 ↔ 백석우체국 ↔ 일산병원 ↔ 백석역, 고양종합터미널 ↔ 대곡역화정역 ↔ 능곡병원 ↔ 행주산성 ↔ 여의나루역샛강역여의도역국회의사당역을 운행하였다. (구 1008번) 2020년 5월 16일 폐선되었다.
  • 801번: 원릉역고양시청덕양구청화정역 ↔ 가라뫼 ↔ 서정마을 ↔ 한국항공대역수색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북가좌동 ↔ 가좌역지하 신촌역 구간을 1997년 12월 신설하여, 1999년10월 폐지하였다.
  • 870번 (본사): 대화동 ↔ 고양종합운동장 ↔ ↔ 후곡마을 ↔ 일산3동 행정복지센터 ↔ 밤가시마을 ↔ 초가집 ↔ 국립암센터 ↔ 마두1동행정복지센터 ↔ 일산병원 ↔ 능곡역 ↔ 행주산성 ↔ 당산역 ↔ 삼환아파트 ↔ 영등포시장역영등포역, 영등포소방서, 타임스퀘어 구간을 운행하였다. (구 87번) 2023년 8월 14일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 871번 (성석동영업소): 성석동 ↔ 중산지구 ↔ 일산복음병원 ↔ 안곡중학교 ↔ 세원고, 동국대병원 사거리 ↔ 숲속마을 7,9단지 ↔ 풍동지구 ↔ 강선마을 8단지 ↔ 마두역백석역 ↔ 백석동 ↔ 대곡역 ↔ 고양경찰서 ↔ 행신초등학교 ↔ 행신동 ↔ 소만마을 ↔ 난지도하수처리장 ↔ 당산역 ↔ 삼환아파트 ↔ 영등포시장역영등포역 ↔ 전경련 ↔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 ↔ 한국거래소여의도역 구간을 운행하였다. (구 87-1번) 2023년 8월 14일 운전기사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 873번: 가좌마을 ↔ 대화마을 ↔ 대진고등학교 ↔ 후곡마을 ↔ 일산3동주민센터 ↔ 국립암센터 ↔ 마두1동주민센터 ↔ 일산병원 ↔ 능곡역 ↔ 행주산성 ↔ 당산역영등포역, 타임스퀘어 구간을 2011년 11월 30일까지 운행 후 870번에 통합되었다. 후곡롯데아파트 ↔ 영등포역 구간은 870번과 동일했다.

4. 3. 직행좌석버스


  • 1003번: 송포동과 서울역을 잇는 노선으로, 2001년 10월에 신설되었다. 초기 번호는 1007번이었으나 서울승합 1007번과 번호가 중복되어 1003번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동해운수의 반발로 잠시 후 폐지되었다.
  • 9600번: 위시티와 양재역을 잇는 노선으로, 고양시청, 원당지구, 화정역, 신사역,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등을 경유한다. 2014년 6월 15일부터 대원고속이 단독 운행하고 있으며, 2015년 현재 역삼역을 거쳐 강남역 12번 출구에서 회차하며 양재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4. 4. 공항버스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경유하는 3200번 공항버스는 인천국제공항으로 가는 노선이다. 3200번은 성사고등학교를 출발하여, 고양시청, 화정역, 능곡역을 거쳐 인천국제공항까지 운행한다. 2009년 7월부터 신성여객으로 노선 양도 후 2014년 4월 1일 부로 대원고속으로 노선이 이관되었다. 공항버스로 인가되어 수도권 통합요금제 환승 할인은 불가능하다.

5. 보유 차량

5. 1. 비야디 자동차

BYD eBus-12

5. 2. 현대자동차

명성에서 운행하는 현대자동차의 차종은 다음과 같다.

6. 영업소

명성운수는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로 97 (대화동)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75번, 999번, 1000번, M7129번, M7731번 노선을 담당한다. 대화공영영업소는 고양시 일산서구 대수길 105 (대화동)에 위치하며, 830번, 1100번, 3300번, 3800번, 9700번, M7646번 노선을 운영한다. 교하영업소는 파주시 소라지로 6 (연다산동)에 위치하고 66번, 67번, 1500번 노선을 담당한다. 내유동영업소는 고양시 덕양구 유산길 46 (내유동)에 위치하며, 82번, 1082번 노선을 운영한다.

성석동영업소는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로 652 (성석동)에 위치하며, 11번, 3400번 노선을 담당한다. 탄현영업소는 고양시 일산서구 탄중로275번길 26 (탄현동)에 위치하며, 921번, 1200번 노선을 운영한다. 하지석영업소는 파주시 방촌로 44-15 (하지석동)에서 7101번 노선을 담당한다. 북일산영업소는 고양시 일산서구 원일로 101 (일산동)에 있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